본문 바로가기

개인공부/자격증

데이터분석 준전문가(ADsP) 합격

취득 목적:  

빅데이터, AI 관련된 연구 또는 개발 역량을 키우기 위해 기본적인 통계 관련 지식과 데이터 분석 관련 지식을 채우고 싶었다.
물론, 공대 석사 생활을 하면서 여기저기 주워들은 지식은 있지만 키워드 정도만 알뿐이지,
이런 조건에는 어떤 통계를 사용해야 한다 또는 이 모델은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등 세부적인 내용은 잘 알지 못했다.

그렇기 때문에 기본 지식들이 참고서로 잘 정리되어 있고 객관적 평가를 받을 수 있는 자격증을 취득하고자 하며, 데이터분석 전문가(ADP)와 빅데이터 분석 기사 취득을 목표로 했다.

제안된 자격증 중 ADP의 경우 현재 응시 자격요건에 부합되지 않아 당장은 공부 할 수가 없었고, ADP 응시 자격요건에 충족되는 요건 중 하나인 데이터분석 준전문가(ADsP)를 취득하고자 했다.


학습: 

구입 교재 : ADsP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 2022 개정판(민트책)

 

학습 : 

빅데이터 분석 기사 필기에 합격한 상태이고 빅데이터 분석 기사와 내용으로 많이 겹쳐 있다. 또한 기사 시험 이후 약 한 달 이후 시험이었기 때문에 1주일의 시간 동안 공부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예상치 못하게 임원면접이 예정되어 본래 계획 중 2일 정도밖에 학습하지 못했다.

전체적으로 한번 내용만 훑어보고, 데이터 이해와 데이터 분석기획 부분의 예상 문제와 복원 문제 1회분 풀이하였다.
또한, 해당 시험은 빅데이터 분석 기사 필기와 다르게 주관식이 있어 과락을 할 수도 있기 때문에 교재 앞부분의 주관식 기출문제 풀이를 세심히 보았다...


결과: 

가채점 : 58+@......... 

 

틀린 부분 :

빅데이터 분석기사를 공부한 자신감으로 등한시 했던 데이터 분석 부분에서 많이 틀렸다. 특히 대표적인 특징만 알고 있는 부분에서 많이 틀렸다. 주관적으로 기사시험과 비교했을 때 기사 시험의 경우 문제의 선지가 딱하나 남는 느낌이라면, ADsP의 경우 선지가 2개정도 남게되는 경우가 많았다.

ADsP를 취득하는 목적은 기본적인 통계 및 데이터 모델링 지식 함양을 위해서인데 제일 잘해야 하는 부분을 많이 틀리게 되었다.

 

시험 결과 : 70점 합격!

제33회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시험 결과


고찰: 

한국사와 마찬가지로 안일하게 시험 준비를 했다. 갑작스러운 임원 면접 준비도 있었지만 사람 일은 모른다고 가채점 당시 미리미리 공부할 걸 후회했었다. ADsP를 준비하는 데 있어 가장 아쉬웠던 부분은 아래의 2가지이다.

- 기출 복원 문제를 풀어보지 않음
- 문제집의 예상 문제를 풀어보지 않음

ADsP 합격만을 위한다면 위 2가지 사항을 개선하면 되겠지만 해당 자격증은 한번 취득하면 끝이고...
향후 도전할 ADP의 경우, 합격을 위한 공부가 아닌 당초 목적대로 내가 부족한 영역을 채우기 위한 공부로서 꼼꼼히 학습해야겠다.

'개인공부 >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관리사 2급 합격  (1) 2022.12.17
제 4회 빅데이터 분석기사 합격  (0) 2022.07.31
57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급  (0) 2022.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