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공부

(17)
혼공학습단 13기- 4주차 @ 3주차 KeywordRAM  - DRAM, SRAM캐시메모리는 CPU 코어에 멀어질수록 용량이 커지고, 속도는 작아진다.플래시 메모리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USB, SSD, SD카드 이다.플래시 메모리 - SLC타입, MLC타입, TLC 타입 셀보다 더 큰단위는 페이지, 블록, 플레인, 다이 순서이다.RAID는 하드디스크 또는 SSD 를 이용하는 기술로, 여러개의 디스크를 이용하여 하나의 디스크 처럼 취급하는 기술임 입출력은 프로그램 입출력, 인터럽트 기반 입출력 DMA 입출력 이 있다.9. 운영체제 시작하기9.1. 운영체제를 알아야 하는 이유9.1.1. 운영체제란- 모든 프로그램은 하드웨어를 필요로하며,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요소를 '시스템 자원' 또는 '자원' 이라고 함- 실행할 프로그램에 필..
혼공학습단 13기- 3주차 @ 2주차 keyword 확인- 레지스터의 동작 흐름 (pp. 114~ 117)- 인터럽트 - 동기 인터럽트(예외), 비동기 입터럽트(하드웨어 인터럽트)- 하드웨어 스레드 ex) 1코어 2스레드 - 소프트웨어 스레드 ex)1코어 1스레드에서도 다중으로 스레드 실행- CISC : 복잡한 명령어 구현, 가변 길이 명령어 특징, 메모리 공간 절약  →  명령어 처리시 긴 클럭 주기 필요- RISC : 단순한 명령어 구현, 고정 길이 명령어, 많은 메모리 필요 → 명령어 처리시 1클럭 내외 6.1. RAM의 특징과 종류6.1.1. RAM의 특징- 실행할 프로그램의 명령어와 데이터가 저장되지만 전원을 끄면 모두 없어짐(휘발성 저장 장치)→ 실행할 대상 저장- 보조기억장치의 경우 전원을 끄면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음..
혼공학습단 13기- 2주차 @ 1주차 확인- 명령어 = 연산구조 + 오퍼랜드- 연산구조 = 명령어가 수행할 연산 → 데이터전송, 산술논리/연산, 제어 흐름 변경, 입출력 제어- 오퍼랜드 = 연산에 사용할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 오퍼랜드 필드에는 데이터 또는 메모리나 레지스터 주소가 올 수 있음- 오퍼랜드 필드에서 나타내는 위치는 주소 지정 방식에 따라 다름 → 즉시, 직접, 간접 / 레지스터Chapter 4.  CPU의 작동 원리 (전체적으로 생소함)4.1. ALU와 제어장치ALU-  ALU : CPU 내부에서 계산을 담당- 계산하기 위한 대상이 있어야되기 때문에 피연산자 필요, 계산에 대한 결과가 출력됨 ?→ALU input- 레지스터를 통해 피연산자를 받고, 제어장치로부터 수행할 연산을 알려주는 제어신호를 받음 → 산술/논리 ..
혼공학습단 13기- 1주차 Chapter 1 컴퓨터 구조 시작하기- 컴퓨터 구조를 알면, 미지의 대상이 아닌 분석 대상으로 인식 변화로 문제에 대한 해결을 다양하게 찾을 수 있음- 또한 개발한 프로그램의 성능을 고려하여 서버 구성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음- 컴퓨터 구조는 간략하게 2가지로 나눌 수 있음1)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 0과 1로만 구성된 정보만을 이해하며, 컴퓨터는 0과 1로 구성된 데이터와 명령어를 이해한다.2) 컴퓨터를 구성하는 4가지 핵심 부품- CPU(중앙처리장치), 메모리(주기억장치-RAM, ROM), 보조기억장치, 입출력 장치로 구성됨- 메모리는 현재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부품 -> 프로그램이 실행되려면 반드시 메모리에 저장- 또한, 주소라는 개념으로 저장된 값에 빠르고 효율적으로 ..
혼공학습단 13기 시작 검색을 하다가 운이 좋게 혼공학습단을 알게되었고, 이전부터 따로 공부하고 싶었던 컴퓨터 구조 영역이 있어서 신청하게 되었다. 이전 직장생활에서도 필요했던 영역이였고, 현재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도 리눅스 환경을 다루거나, MCU 또는 FPGA를 다루면서 컴퓨터 구조를 공부해야되는 필요성을 느꼈었다. 총 6주 동안 진행되는 25년 1월 6일부터 2월 23일까지 진행하는 스스로 공부하는 학습 환경을 통해 지식도 쌓고,작은 성공들을 통하여 내 자신을 다시 부스팅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다.
네트워크 관리사 2급 합격 취득 목적: 현재 일하는 회사의 직무는 전공과 상관없는 네트워크와 관련되어 있다. 프로그램 개발 업무도 있지만 네트워크 구성, 장비도 알아야 되기 때문에 비전공자인 나는, 많이 막막했다. 특히 업무 관련 회의에 참석하게 되면, 중요하지만 내가 잘 모르는 네트워크 용어와 장비들에 대한 이야기들이 주를 이루고 내 머릿속을 스쳐지나간다. 물론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장비, 네트워크 구성은 점점 익숙해지지만 예외 상황도 있고 기본 원리를 모르니 당황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했다. 따로 공부하고 싶지만 어떤걸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잘 모르겠고, 동기 부여가 잘 되지 않아서 입사한 지 몇 달이 지났지만 제자리걸음이다. 그렇기 때문에 나에겐 목표로 설정할 수 있는 성과물이 필요하였고 네트워크 관련 국가 공인 자격증인 '네트..
제 4회 빅데이터 분석기사 합격 취득 목적:  빅데이터와 AI 관련된 연구와 개발 역량을 키우고, 해당 역량에 대해 기본적으로 평가 받기 위해 취득하고자 했다.특히, 이전에 인공지능을 이용한 연구와 인공지능과 관련된 공부를 조금이나마 했었지만 기계학습 부분(SVM, random forest 등)과 통계 분석 부분과 결과 해석부분에 대한 지식이 많이 부족하여 이론적인 부분을 채우고 싶었다.학습: 구입 교재 : 필기 - 이기적 빅데이터 분석기사 필기 실기 - 공개적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Python) 학습 :  필기 - 자격증 공부 이전에 공학 석사 생활을 하면서 연구에 필요한 분석 방법을 제한적으로 사용하고 들은 경험(회귀분석 - RMSE, 결정계수, 피어슨 상관계수, 회귀를 위한 모델 - 선형회귀, LSTM, CNN 정도)이 있다...
데이터분석 준전문가(ADsP) 합격 취득 목적: 빅데이터, AI 관련된 연구 또는 개발 역량을 키우기 위해 기본적인 통계 관련 지식과 데이터 분석 관련 지식을 채우고 싶었다. 물론, 공대 석사 생활을 하면서 여기저기 주워들은 지식은 있지만 키워드 정도만 알뿐이지, 이런 조건에는 어떤 통계를 사용해야 한다 또는 이 모델은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등 세부적인 내용은 잘 알지 못했다. 그렇기 때문에 기본 지식들이 참고서로 잘 정리되어 있고 객관적 평가를 받을 수 있는 자격증을 취득하고자 하며, 데이터분석 전문가(ADP)와 빅데이터 분석 기사 취득을 목표로 했다. 제안된 자격증 중 ADP의 경우 현재 응시 자격요건에 부합되지 않아 당장은 공부 할 수가 없었고, ADP 응시 자격요건에 충족되는 요건 중 하나인 데이터분석 준전문가(ADsP)를 취..